학술논문
학업적 지원에 대한 부모-자녀 인식 차 잠재프로파일: 예측 요인 및 스트레스 차이
이용수 30
- 영문명
- Latent Profiles of Parent-Child Discrepancies in Perception of Parental Supports: Predictive Factors and Stres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신 김명섭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205~2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적 지원에 대한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인식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모와 자녀가 인식한 부모의 학업적 지원에 대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부모와 자녀가 인식한 부모의 학업적 지원이 서로 구분되는 프로파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한 후, 소득과 교육비,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과 애착(소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학업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과 부모의 학업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5개의 잠재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부모 요인과 자녀 요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득과 교육비, 상호작용과 애착(소외)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라 청소년이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업적 지원에 대한 부모와 자녀의 인식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 간 인식 차이 확인의 중요성 및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screpancies in perceptions of parental academic suppor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of parental academic support as perceived by parents and children.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how income, educational expenses, interaction, and attachment influenced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Furthermore, it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latent profile types.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that five distinct latent profiles regarding parental academic support as perceived by 9th-grade students and parents.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ctors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showed that educational expenses, interaction, and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files. An analysis of how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influenced adolescents' stress in academic settings indicated that stress varied depending on the latent profile type.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perception ga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discussed, along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량서지학 분석과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기초학력 연구동향 분석
- 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대학생의 과보호지각과 학교참여의 구조적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의 매개효과 및 성별 차이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초·중등 교사들의 성취기준 인식 양상 연구
-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및 교육 경험의 영향
-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 대상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을 중심으로
- ‘장애아비투스’의 발생적 구조와 변화-이행 탐색: 평생교육 장 적응 실패의 숨겨진 회로
- 학부모 참여 의사결정의 중요성 재조명: 교사의 학부모 신뢰를 중심으로
-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적응형 평가로의 전환: 정답률 개념 및 활용에 대한 한계와 대안
- 수학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의 수학동기의 종단적 변화의 이질적 양상: 마인드셋과 수학효능감의 예측효과와 자기조절학습과 수학성적의 차이
- 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탐색: IB CA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학업적 지원에 대한 부모-자녀 인식 차 잠재프로파일: 예측 요인 및 스트레스 차이
-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문화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 작은 학교, 좁은 문: 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가 사라질 때 : 학교 폐쇄와 지역 인구변화의 관계
-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자동 번역 연구: 교육과정을 고려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방법의 효과성 탐색
- 지역 여건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