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작은 학교, 좁은 문: 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4

영문명
Small Schools, Narrow Gates: How School Size Shapes Access to Prestigious Universitie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윤민종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327~34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로짓 회귀, 구분 선형 회귀(Piecewise Linear Regression),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허버트-화이트(Hubert-White) 강건 표준 오차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규모는 상위권 대학 진학률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내생성 오류를 교정한 도구 변수 분석에서도 이 결과는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특히 학업 능력과 학교 특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대규모 학교(약 300명 기준)에 재학 중인 학생은 소규모 학교(약 100명 기준) 학생에 비해 상위권 대학 진학 확률이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구분 선형 회귀 분석에서는 학생 수가 약 300명을 초과하는 지점부터 학교 규모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규모 학교가 대입 경쟁에서 유리하다기보다 작은 학교가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추가로 실시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학교 규모가 수시 전형과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수시 전형 지원자 중 대규모 학교 학생은 소규모 학교 학생보다 상위권 대학 진학 확률이 약 25∼35%포인트 높았으며, 내신 성적 상위 집단에서는 그 격차가 약 50%포인트에 달했다. 연구진은 학교 규모의 물리적 조건이 대입 전형과 같은 다양한 교육 제도와 결합하여 지역 간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Using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2013),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chool size on admission to top-tier universities. Using piecewise linear regression and Instrumental Variable(IV) analysis to estimate the effect of school size on admission ra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rger schools are more advantageous for gaining admission to elite universities. Particularly, students from small schools were found to have about half the likelihood of being admitted to top-tier universities compared to those from medium and large schools. However, the effect of school size becam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en the school size exceeded approximately 300 students(+1SD), according to the piecewise linear regression results, suggesting that the size effect diminishes beyond this point. The results from IV analysis, which corrected for endogeneity errors, consistently showed that larger school sizes favorably affect the admission of students to top-tier universities, especially those applying through transcript based admission system and those with high academic achiev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possibility that school size could exacerbate regional educational inequalities in conjunction with various educational systems, such as university admissions systems, high school credit systems, and norm-referenced grading method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민종. (2025).작은 학교, 좁은 문: 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63 (2), 327-348

MLA

윤민종. "작은 학교, 좁은 문: 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63.2(2025): 327-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