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 대상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을 중심으로

이용수  29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Growth Mindset-Based Learning Program for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College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안수정 이윤영 백근영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463~50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들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Grit)을 증진하기 위한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신념과 태도를 성찰하고, 학습 목표 설정, 구체적 전략 수립, 실패 경험에 대한 재해석 및 삶의 전반적인 맥락으로 확장 적용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 태도를 고정 마인드셋에서 성장 마인드셋으로 전환하도록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자율적으로 시간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학습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에 재학 중인 5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은 27명, 통제집단은 2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통해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비검정을 통해 집단 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경우 집단 간, 집단 내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집단과 시점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릿의 전체척도 점수 간의 집단 간, 집단 내, 집단과 시점 간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척도인 과제선호수준, 감정, 행동, 그릿의 하위척도인 노력-지속성은 집단과 시점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 및 상담학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growth mindset-based learn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grit among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The program was tested with 52 students enrolled in a lifelong education college.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7 participants, while the control group included 25 participants. Measurement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grit were conducted at three time points: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contrast tests to examine the effects between and within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between or within groups, but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In contrast, for the overall grit sc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between groups, within groups, or for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However, subscale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such as task preference level, emotion, and behavior, and the grit subscale of perseverance of effor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 and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and counsel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 법
Ⅳ. 결 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수정,이윤영,백근영. (2025).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 대상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 (2), 463-505

MLA

안수정,이윤영,백근영.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 대상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2(2025): 463-5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