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Phenomenon of Sinmyeong Experiences in the Arts: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이연미 이수연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3호, 319~3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 신명 체험의 조건 및 치료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적 활용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해 음악, 무용(춤), 미술 등의 예술 분야에서 신명 체험을 다룬 총 3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명 체험은 주로 예술 체육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무용(춤)이나 두 개 예술 영역이 결합 된 종합 예술에서 그 현상이 다루어졌다. 신명 체험 현상은 종교적 측면에서 ‘접신’과 초월적 경험인 ‘몰아’를, 행위적인 측면에서는 ‘역동적인 움직임’, 내면적 측면에서는 ‘생명력 발현’, 정서적 측면에서는 ‘다층적인 감정 경험’, 집단적 측면에서는 집단 원형적 정서인 ‘한풀이’와 공동체적으로 ‘여럿이 함께’ 교류하고 공감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신명 체험을 위해서는 ‘열린 공간’과 ‘능동성’이 필요하며, 치유적 기능으로 부정적 정서의 경감과 긍정적 정서로의 전환, 신체 에너지 고양, 개인의 생명력과 주체성 회복,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영역에서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참여 기반 예술 교육의 기초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신명 체험을 유발하는 예술적 속성 및 교육에서의 실질적 적용에 대한 연구 수행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phenomenon of shinmyungin the arts, focusing on its core conditions, potential therapeutic functions. A scoping review of 39 academic sources across music, dance, and visual art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shinmyunghas been predominantly explored in the field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dance and interdisciplinary art forms. The experience of shinmyungencompasses multiple dimensions: spiritual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performative (dynamic movement), psychological (expression of inner vitality), emotional (multi-layered affective responses), and social (communal interaction and shared empathy, such as han-puri). Key enabling conditions include open, inclusive environments and active learner engage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shinmyungcontributes to emotional regulation, increased physical and cognitive energy, personal empowerment, and strengthened group cohesion. Based on this, the study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supports learner-centered and experience-driven approaches in arts educ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practic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shinmyung-inspired elements into educational settings and identifying specific artistic features that facilitate meaningful learner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DIE 모형을 활용한 음악 인공지능 기반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음악과 창작 활동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 활용 메이커 교육 수업 설계 원리 개발 연구
- 실시간 하이브리드 러닝 기반 글로벌 합창 프로젝트 교육(PBL) 방안 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악기 연주 지도에서 모델링 학습의 효과 분석 및 교육적 적용 방안
- ARCS모형을 활용한 특수학생 대상 통합 음악교육 창극 수업 방안 연구
-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악놀이터 앱 기능 개선 방안
- 국악 공연장 감상교육이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적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가창 제재곡 연구: 월별 학교 행사를 반영하여
- 2022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거문고 연주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초견 수업지도방안 연구: 예술계 고등학교 피리 전공생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철학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 재창작 음악의 창조성과 대중성에 관한 논의
- 지방 대학 실용음악학과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 근대 프랑스의 보수적 비주류 음악에 관한 연구: 뱅상 댕디의 「피아노 소나타 Op. 63」을 중심으로
- 민족시의 상반된 구현: 쑤샤와 루자이이에 의한 동명의 중국 예술가곡 《사랑하는 우리의 대지》(我爱这土地) 분석 및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