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초견 수업지도방안 연구: 예술계 고등학교 피리 전공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Sight Reading by Applying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Focusing on Students Majoring in Piri at an Music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박해진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3호, 233~2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피리 초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 예술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실행하여,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피리 초견 수업이 학습자들의 음악적 지식 습득 정도와 자기 효능감, 음악적 자기 효능감, 메타인지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적 도제 이론, 초견, 피리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총 5차시의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피리 초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도안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예술계 고등학교 1-~2학년 피리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초견 수업에서 실행해 보며 인지적 도제 학습에 따른 학습자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수업 사전 실기 평가, 사후 실기 평가, 사후 설문지를 t-test를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실기 평가 평균의 차이와 사후 설문지를 통해 자기 효능감, 음악적 자기 효능감, 메타인지 상승 정도를 비교하고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양적 분석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학습자들의 정성적 성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습자 활동지, 설문지 및 교사의 자기 평가지를 종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피리 초견 수업은 학습자들의 음악적 지식 습득 능력, 자기 효능감, 음악적 자기 효능감, 메타인지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의 음악적 지식 습득 능력과 자기 효능감은 차이분석에서 각각 t=-3.012(p<0.05), t=2.424(p<0.05)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uideline of teaching-learning using the cognitive apprentice theory and to verify the effect on learners' degree of musical knowledge acquisition, self-efficacy, musical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by utilizing the theory of cognitive apprentice of piri’s sight reading class in music high schools.
For this study, references on sight reading, piri, and the theory of cognitive apprentice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a teaching-learning guideline for sight reading of piri, which applied the theory of cognitive apprentice in a total of 5 sessions, was developed. The subject of the study of teaching-learning program of sight reading in piri, applied the theory of cognitive apprentice was 31 students majoring in piri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an art high school located in Gangnam-gu, Seoul, and it was applied to a total of 5 classe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conducting a pre-practice evaluation and a pre-questionnaire before the class of sight reading in piri to which the cognitive apprentice theory was applied, and a post-practice evaluation and post-questionnaire after the class. In addition, this research was qualitatively analyzed by integrating activity sheets, questionnaires of learners, and self-evaluation of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gree of emotional improvement of learners who are difficult to grasp by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qualitative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of sight reading used the cognitive apprentice theory was effective in the positive growth such as self-efficacy, musical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Piri. And, as the class was in progress, learners gained confidence i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n the process of caring for and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of sight reading in piri, which applied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results, had an overall positive effect on the acquisition ability of musical knowledge, self-efficacy, musical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improvement of learners majoring in piri.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견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DIE 모형을 활용한 음악 인공지능 기반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음악과 창작 활동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 활용 메이커 교육 수업 설계 원리 개발 연구
- 실시간 하이브리드 러닝 기반 글로벌 합창 프로젝트 교육(PBL) 방안 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악기 연주 지도에서 모델링 학습의 효과 분석 및 교육적 적용 방안
- ARCS모형을 활용한 특수학생 대상 통합 음악교육 창극 수업 방안 연구
-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악놀이터 앱 기능 개선 방안
- 국악 공연장 감상교육이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적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가창 제재곡 연구: 월별 학교 행사를 반영하여
- 2022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거문고 연주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초견 수업지도방안 연구: 예술계 고등학교 피리 전공생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철학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 재창작 음악의 창조성과 대중성에 관한 논의
- 지방 대학 실용음악학과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 근대 프랑스의 보수적 비주류 음악에 관한 연구: 뱅상 댕디의 「피아노 소나타 Op. 63」을 중심으로
- 민족시의 상반된 구현: 쑤샤와 루자이이에 의한 동명의 중국 예술가곡 《사랑하는 우리의 대지》(我爱这土地) 분석 및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