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DIE 모형을 활용한 음악 인공지능 기반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AI-Base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ADDIE Mode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박현진 남상봉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3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음악과 인공지능 기반 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디지털 시대의 인공지능 기술은 음악교육 방식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수업 설계 역량 강화를 위한 12차시 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은 음악 이론의 이해, 인공지능 도구의 교육적 활용, 음악 윤리와 저작권, 인공지능 모의 수업 설계 및 자료 제작 등으로 구성하었으며, 시청각 자료와 실습 매뉴얼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현직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실행되었고, 각 차시마다 실습 과제와 성찰 글쓰기를 병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분석은 사전-사후 설문조사, 실습 과제, 성찰 글쓰기, 성취 평가, 강의 평가, 수업 영상 및 관찰일지 등 종합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컴퓨터 활용 음악 교수 지식이 향상되었고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인되었다. 개선점으로는 음악 비전공 교사를 고려한 이론 구성과 반복 실습 과제의 강화, 기능과 교육적 사고의 균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음악 인공지능 수업 설계 역량을 함양하는 실천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I-integrate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o explore areas for improvement.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creasingly influenc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I-enhanced approaches in music instruction. In response, a 12-session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ies in designing AI-based lessons. The curriculum covers music theory,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AI tools, music ethics and copyright, AI-based simulation class design, and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ment. The program was delivered online to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ach session incorporating practical tasks, such as lesson planning, and reflective writing.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including pre-post surveys, performance tasks, written reflections, achievement assessments, lecture evaluations, class recordings, and observation logs. As a resul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participant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usic, as well as in their perceptions of AI-based education. Areas for improvement include adapting theoretical content for non-music majors,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repeated practice, and developing a pedagogical framework that balances technical proficiency with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foundation for enhancing elementary teachers' competencies in designing AI-integrated music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음악 인공지능 기반 초등교사 프로그램 개발
Ⅴ. 결론 및 개선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DIE 모형을 활용한 음악 인공지능 기반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음악과 창작 활동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 활용 메이커 교육 수업 설계 원리 개발 연구
- 실시간 하이브리드 러닝 기반 글로벌 합창 프로젝트 교육(PBL) 방안 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악기 연주 지도에서 모델링 학습의 효과 분석 및 교육적 적용 방안
- ARCS모형을 활용한 특수학생 대상 통합 음악교육 창극 수업 방안 연구
-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악놀이터 앱 기능 개선 방안
- 국악 공연장 감상교육이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적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가창 제재곡 연구: 월별 학교 행사를 반영하여
- 2022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거문고 연주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초견 수업지도방안 연구: 예술계 고등학교 피리 전공생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철학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 재창작 음악의 창조성과 대중성에 관한 논의
- 지방 대학 실용음악학과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 근대 프랑스의 보수적 비주류 음악에 관한 연구: 뱅상 댕디의 「피아노 소나타 Op. 63」을 중심으로
- 민족시의 상반된 구현: 쑤샤와 루자이이에 의한 동명의 중국 예술가곡 《사랑하는 우리의 대지》(我爱这土地) 분석 및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