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악놀이터 앱 기능 개선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Enhancing the Functions of the Gugak Playground App to Promote Gugak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임현택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3호, 133~16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해 국립국악원에서 개발한 현행 국악놀이터 앱의 기능 개선 방안 모색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초등 교사 대상의 앱에 대한 인식 및 활용에 대한 1차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이 중 실제 앱을 사용해 본 경험자를 선별하여 앱의 기능 개선을 위한 2차 설문 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 제고를 위해 국악 교육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초등학교 교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속 예술 강사를 대상으로 앱의 기능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설문 조사에서 초등 교사 상당수가 앱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앱의 활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소극적인 견해를 보인 반면, 향후 앱 기능 개선 시 음악 수업 활용 의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2차 설문 조사에서는 앱의 사용자 편의성, 메뉴별 기능 활용 적정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이 도출되었으며, 기능 개선 방향으로 게임화된 학습 요소 강화, 맞춤형 학습 경로 제공, 교육 콘텐츠 다양화 등의 순으로 응답을 선택하였다. 끝으로 심층 인터뷰에서 도출된 전문가 의견을 가락 만들기, 장단 배우기, 합주, 국악사전, 기타 의견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이에 덧붙여 앱의 기능 개선 및 앱을 활용한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 측면에서 일반 초등 교사 집단의 의견 수렴, 앱의 기능 및 활용법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functions of the current Gugak Playground app, develop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Gugak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is, an initial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ssess their awareness of the app and its utilization. A follow-up survey was then administered to teachers who had actively used the app to gather insights on functional improvements.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the way to improve the app functions with university-level music education professo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rt instructors of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to validate the study’s finding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survey revealed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nfamiliar with the app and exhibited a passive attitude toward its use. However, when asked whether they would incorporate the app into their music lessons if its functions were improved, they responded positively. Second, participants in the follow-up survey provided favorable feedback regarding the app’s user-friendliness and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functions by menu. When asked about functional improvements, they prioritized enhancing gamification elements for learning, offering personalized learning pathways, and diversifying educational content. Finally, expert opinions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categorized into areas such as creating Garak (melody), learning Jangdan (rhythmic pattern), ensemble, and Gugak dictionary, along with additional suggestion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to collect feedback from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ctively promote both the app’s functionalities and applications in respect of the app function improvement and revitalizing Gugak education with the app in the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국악놀이터 앱 개요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DIE 모형을 활용한 음악 인공지능 기반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음악과 창작 활동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 활용 메이커 교육 수업 설계 원리 개발 연구
- 실시간 하이브리드 러닝 기반 글로벌 합창 프로젝트 교육(PBL) 방안 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악기 연주 지도에서 모델링 학습의 효과 분석 및 교육적 적용 방안
- ARCS모형을 활용한 특수학생 대상 통합 음악교육 창극 수업 방안 연구
-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악놀이터 앱 기능 개선 방안
- 국악 공연장 감상교육이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적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가창 제재곡 연구: 월별 학교 행사를 반영하여
- 2022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거문고 연주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인지적 도제 이론을 적용한 초견 수업지도방안 연구: 예술계 고등학교 피리 전공생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철학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 재창작 음악의 창조성과 대중성에 관한 논의
- 지방 대학 실용음악학과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 근대 프랑스의 보수적 비주류 음악에 관한 연구: 뱅상 댕디의 「피아노 소나타 Op. 63」을 중심으로
- 민족시의 상반된 구현: 쑤샤와 루자이이에 의한 동명의 중국 예술가곡 《사랑하는 우리의 대지》(我爱这土地) 분석 및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