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Ambiguity Toleranc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Metacognit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석보영 강이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259~2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애매모호내성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와 학습전략의 사용과 효과 판단,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교양과목 수강생 80명을 대상으로 기말고사 점수를 예측하도록 하고 학습전략의 사용과 효과정도, 애매모호내성,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애매모호내성 정도를 4분위로 나눈 후, 예상점수, 실제점수, 그리고 그 차이 점수인 착각점수를 일원변량분석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학습전략 사용과 효과정도, 성취목표지향, 메타인지를 각각 일원변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매모호내성의 정도에 따라 실제점수와 예상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학습전략의 사용과 효과정도 판단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취목표지향 유형의 경우, 애매모호내성의 정도와 상관없이 숙달접근 성향이 가장 높고 숙달회피 성향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애매모호내성이 높을수록 접근과 회피 성향 간 차이가 컸으며, 특히 접근 성향이 두드러졌다. 메타인지의 경우, 애매모호내성의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메타인지의 조절 요인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전체 메타인지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불확실한 자극에서 성취목표지향 성향은 부적 경향을 가지며, 새로운/낯선 자극은 메타인지의 지식과 조절 요인에 정적 관련성을, 일반적인 애매한 자극에는 반복읽기 전략 사용과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교수학습장면에서 학생들이 접하게 되는 지식과 기능 등은 새로울 뿐만 아니라 대부분 애매모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롭게 직면하는 지식과 상황의 모호성에 대해 학생들이 수용하고 감수하는 정도를 확인하고 그 정도에 최적화된 다양한 교육적 처방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the u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learning strategies(L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AGO), and metacognition(MC)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ambiguity tolerance(AT). Eighty undergraduate students(Ss) were asked to predict their final exam scores and to self-assess their use and effectiveness of LS, as well as their levels of AT, AGO, and MC. AT score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and an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predicted scores, actual scores, and illusion scores Ss, judgments regarding LS use and effectiveness, AGO, and MC. The results showed that neither actual nor predicted scores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levels of AT,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judgments of LS use or effectiveness. In terms of AGO, mastery-approach was consistently the highest, while mastery-avoidance was the lowes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AT. Greater AT was associated with a larger discrepancy between approach and avoidance, primarily due to a stronger inclination toward approach. Regarding MC, Ss with higher AT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MC regulation than those with lower A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MC.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mbiguous stimuli, particularly those involving uncertaint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O. In contrast, unfamiliar stimuli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MC knowledge and regulation. Additionally, general ambigu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use of rereading strategies. In educational settings, the knowledge and skills Ss encounter are not only novel but also often ambiguous. This study identified the extent to which Ss tolerate and accept such ambiguity and suggested a range of LS tailored to their level of A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