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GenAI Prompts on Instructional Desig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이병직 강이철 김남희 석보영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163~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섯 가지 생성형 AI 프롬프트를 활용하여 수업설계(교수분석, 수행목표개발, 평가도구개발, 교수전략개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 분석하는 것이다. 교수분석을 수행한 결과, 목표분석에서는 6가지 프롬프트의 결과 간 차이가 없었으며 하위기능 분석에서는 Persona 프롬프트만 구체성과 명세성이 탁월하게 높았다. 이에 따라 수업설계 과정의 일관성과 체계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후의 단계에서는 Persona 프롬프트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Persona 프롬프트의 결과를 제안 프롬프트 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안 프롬프트란, 생성형 AI가 내용과 맥락의 특성에 따라 6개 프롬프트 중 가장 적합한 프롬프트를 선정하여 적용한 것을 의미한다. 제안 프롬프트를 적용한 결과, 하위기능의 내용이 단순한 기억이나 이해 수준일 경우 Zero-shot과 Few-shot을 선택했으며, 적용과 분석 수준일 경우 Role-playing과 Persona, 그리고 실습을 통한 오류 수정이나 시스템 구축과 같은 종합 수준일 경우 Chain of Thought(CoT)와 Zero-shot with CoT를 차별적으로 선택했다. 이처럼 생성형 AI에게 프롬프트를 선택하게 했을 경우, 분석 대상의 내용과 맥락을 고려하여 프롬프트를 특정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롬프트 적용 결과에 대해 ISD 전문가와 내용 전문가가 분석한 내용 타당도와 형식 타당도는 모두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수업설계는 방대한 양과 전문적 수준의 지식과 기능들이 요구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피드백과 피드포워드를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따라서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는다면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교육프로그램을 산출할 가능성이 제고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그런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탐구한 시도로서 실용적 가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six types of Generative AI prompt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instructional analysis, performance objective, assessment instrument, and instructional strategy—an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ing output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prompts in terms of general target analysis, the Persona prompt demonstrated superior specificity and depth in sub-function analysis, and was therefore adopted as the benchmark for subsequent design stages to ensure coherence and consistency. In a further comparison between the Persona prompt and the Suggested prompt—which enables Generative AI to autonomously select the most contextually appropriate prompt type—the AI exhibited an adaptive selection pattern: Zero-shot and Few-shot were primarily chosen for lower-order cognitive tasks involving knowledge and comprehension; Role-playing and Persona were selected for tasks requiring application and analysis; and Chain of Thought (CoT) and Zero-shot with CoT were applied to tasks demanding higher-order cognitive engagement such as error correction or system construction. This indicates that the AI was capable of selecting prompts in a manner sensitive to both content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omplexity. The validity of the AI-generated outputs was evaluated by experts i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and content, with both content and format validity rated as satisfactory. Given that instructional design is an inherently complex and cognitively demanding process that necessitates iterative feedback and forward-thinking consider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erative AI holds significant potential to enhance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overall quality of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s. Accordingly, this research offers meaningful empirical insight into the practical integration of AI in educational development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