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Vocation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Preferences, and Usage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최희정 김누리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87~11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이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효과적인 학습전략과 비효과적인 학습전략 중 어떠한 학습전략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학습전략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S시 소재의 전문대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학습전략의 효과성 확인을 위하여 가상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참가자들에게 이 중 자신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학습법과 선호하는 학습법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전문대학생들은 7가지 효과적인 학습전략 모두를 효과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으나, 선호하는 전략 중 일부는 비효과적인 전략(재학습, 묶음학습, 제공학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학습전략 인식과 실제 메타인지에 대한 활용성에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전문대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objectively examine how vocational college students perceiv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which strategies—among both effective and ineffective ones—they prefer, and how they actually utilize these strateg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6 students attending a vocational college located in S city, Jeollanam-do, South Korea. To assess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learning strategies, hypothetical scenarios were created,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strategies they considered effective as well as those they prefer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students recognized all seve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s effective, some of their preferred strategies were actually ineffective ones—such as rereading, massed practice, and provided learning. Furthermore, significant findings emerg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recognition of learning strategies and their actual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how learning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vocational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