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Nature Friendly based Science Educatio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Science Education Attitudes, Science Matter Knowledge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이종향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교수법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교원양성과정에서 효과적인 유아과학수업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위치한 G대학의 유아교육과에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재학한 학생 중 유아과학수업을 이수한 학생 총 8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자연친화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과학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이며 각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90이상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자연친화수업이 과학실험수업보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원양성과정에서 유아과학교육 수업 시 자연을 충분히 활용하는 자연친화수업이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e Friendly based science educatio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science education attitudes, science matter knowledg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eaching. the subjects were 8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niversity. 4I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42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test instruments was .90 or higher fo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science education attitudes, science matter knowledge. Main results are as follow. Nature Friendly based science education reveals positive effects on the in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science education attitudes, science matter knowledge. The meaning of this result suggests the need to actively utilize nature friendly education when opera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operate creative courses, and expand classrooms outdoors. also, teachers should be able to plan by expan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indoor to outdoor during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