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on Academic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Grit: An Exploratory Analysis of Structural Differences by Exercise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유계환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193~2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 효과와 운동 여부의 조절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운동 여부가 내적동기 및 무동기와 학업 스트레스 간의 직접적 관계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한 간접 경로에서도 조절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S시에 위치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681명의 학생이며, 연구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통해 검토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동기와 무동기는 그릿과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그릿 역시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그릿은 내적동기, 무동기와 학업스트레스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운동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에서는 두 집단 간 구조적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측정모형의 동일성이 확보되지 않아 경로 비교를 통한 조절효과 해석은 제한적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수준에서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 스트레스 관리 전략에 있어 내적동기의 촉진 및 그릿 향상과 더불어, 운동과 같은 심리적 자원을 포함한 개입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학업 동기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운동을 통한 정서적 조절 자원 제공이 잠재적으로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on academic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while also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grit and the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physical exercise in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whether exercise not only direct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amotivation and academic stress but also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indirect path through gri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81 students enrolled in a junior college located in S city, Jeollanam-do, South Korea.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grit and academic stress, and gri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stress. Second, gri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motivation, and academic stress. Third, in the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exercise participation,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because measurement invariance was not established, interpretation of moderating effects through path comparison wa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for such moderating effects at an exploratory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es for managing academic stres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promotion of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enhancement of grit, but also interventions involving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physical exercise. In particular,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motivation, providing emotional regulation resources through exercise may serve as a potentially effective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