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Flow in University E-Learners: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and Grit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전연홍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59~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내적 동기, 인지적 전략, 태도적 지속성을 반영하는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 세 변인을 중심으로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북 소재 대학교에서 온라인 정규 교양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74명이며, 자료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30.0과 AMOS 30.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기와 메타인지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그릿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메타인지는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동기와 그릿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그릿의 하위 요인 중 '지속적인 관심'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준 점은 기존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로, 그릿 구성 요인에 대한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이러닝 환경에서는 직접적인 인지 및 정서 요인의 개입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및 몰입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본 연구는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 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교수설계와, 학습동기 고취를 위한 내재적 동기 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그릿의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 하위 요소의 기능을 구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자기주도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tructur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ngagement in a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ffective online instructional design. Specifical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motivation, metacognition, and grit were examined, as they reflect learners’ intrinsic drive, cognitive strategies, and attitudinal persistence. The participants were 174 students enrolled in online general education courses at a university in Gyeongbuk,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using SPSS 30.0 and AMOS 30.0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academic motivation and metacognition posi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hile grit had a negative effect. Moreov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academic motivation and grit did not. Notably, the grit subfactor “consistency of interest” nega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uggesting the need fo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grit. Mediation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indicating that in e-learning contexts, direct cognitive and emotional interventions may more effectively support learners’ self-regulation and engageme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metacognitive skills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of differentiating grit’s subcomponents to design effective online instru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