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Case Study of Evidence-Based Cognitive Learning Therapy for Enhancing the Basic Learning Abilities of Slow Learner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이가연 정혜인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27~5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느린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뇌 발달과 인지재활을 고려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후 기초학습능력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 G구 관내의 초등학교에서 2021년 6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의뢰된 ‘느린 학습자’ 27명 중 5가지의 기준으로 3명을 선정하여 개별 특성에 맞춰 실행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는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사회⁃문화적 맥락,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각 영역에 맞춰 시행되었다.
연구 분석은 본 연구자 2인 외 4인의 평정자와 1인의 수퍼바이저 겸 감수자로 구성된 연구진이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지능검사와 기초학습능력 검사에 기반하여, 5개의 주요 영역과 8개의 하위 범주를 추출하였다.
사전-사후 분석 결과, 개입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이 1~2년과 같은 단기간의 개입만으로 급격히 향상되기 어려울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인지학습치료는 느린 학습자들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개입 방법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실무자의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개입 설계를 기반으로 한 실증 연구가 요구되며, 개별 학습자의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사례연구의 병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the basic academic skills of slow learners following evidence-based cognitive learning therapy,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cognition and emotions, as well as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 To achieve this,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five criteria from a total of 27 slow learners referr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G District, S City, between June 2021 and May 2024. A case study approach was employed, tailor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ipant.
The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by a research team consisting of two primary researchers, four evaluators, and one supervisor who also acted as a reviewer. The team identified five key domains and eight subcategories based on intelligence and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s.
Pre- and post-intervention analyses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ticipants' academic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of slow learners may not improve dramatically within a short intervention period of one to two years. Nevertheless, cognitive learning therapy remains a crucial intervention for enhanci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slow learners. Based on practitioners’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to design long-term intervention strategies. Additionally, in-depth ca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dividual learn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 선호 및 활용에 대한 인식 탐색
- 그림책 활용 마음챙김 기반 유아자연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연결성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자연친화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육태도, 과학교과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설계에 적용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효과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학습동기, 메타인지, 그릿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기반 인지학습치료 실행사례연구
-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 효과: 운동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구조 차이의 탐색
- WICS 모형기반 초등학생의 지혜 신장을 위한 인지적 조합요인의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