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in PISA 2022: A Multilevel Analysis
발행기관
대한사고개발학회
저자명
정재훈 임효진 조은혜
간행물 정보
『사고개발』제21권 제1호, 211~2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PISA 2022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과 학교 요인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HLM)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배경 요인 중 여학생일수록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SES)가 높을수록 창의적 사고가 높았다. 또한 동기 요인인 호기심, 상상력, 수학 학습의 적극성이 높을수록 창의적 사고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인내심과 수학 선호도에 따른 창의적 사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교 요인 분석 결과, 창의적 학교 풍토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사-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창의적 사고가 높았으나 학교 자율성에 따른 창의적 사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과 학교 차원에서 창의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ive thinking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tudent- and school-level characteristics on fostering creative thinking. Using data from PISA 2022,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tudent background factors, being female and having a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reative thinking. In terms of motivational factors, curiosity, imagination, and active engag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creative thinking. However, perseverance and a preference for mathematic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econd, at the school level, a more creative school climat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creative thinking. Additionally,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students’ creative thinking, whereas school autonom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creative thinking at both the student and school leve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훈,임효진,조은혜. (2025).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사고개발, 21 (1), 211-232

MLA

정재훈,임효진,조은혜.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사고개발, 21.1(2025): 211-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