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초・중등 교사의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3
- 영문명
- The Effects of AI Literacy and Ethical Awareness on K-12 Teachers' AI Learning Behavioral Intention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동휘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301~3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여 초・중등 교사의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교사의 사회적 선을 위한 AI 활용에 대한 인식, 자기 효능감, 그리고 궁극적으로 AI 학습 행동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I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중등 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적용하였다.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CFA)과 경로 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AI 리터러시는 AI 자기 효능감과 윤리 인식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윤리 인식은 교사의 사회적 선을 위한 AI 활용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I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선을 위한 AI 활용 인식은 AI 학습 행동 의도의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교사의 AI 교육 참여를 촉진하는 데 있어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I 리터러시를 강화하면 AI 관련 교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AI 활용에 대한 윤리적 고려 또한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I literacy and ethical awareness on K-12 teachers' AI learning behavioral intention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Specifically, it explored how AI literacy and ethical awareness influ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I for social good, self-efficacy, and ultimately, their intention to engage in AI learn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18 K-12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AI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study employed SEM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I literacy and ethical awareness on AI learning behavioral inten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CFA and path analysis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I liter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I self-efficacy and ethical awareness, while ethical awareness positively influenced teachers’ perception of AI for social good. Both AI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AI for social good were found to be strong predictors of AI learning behavioral intentions. Conclusion: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I literacy and ethical awareness in fostering teachers' willingness to engage with AI education. Enhancing AI literacy not only improves teachers' confidence in AI-related teaching but also strengthens their ethical considerations in AI u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 영유아교사의 돌봄에 대한 개념도 연구
-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강의평가 도구 개발: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계선 지적 기능 선별 척도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비가열 조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 및 예비 대학생 요구도 분석
-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초・중등 교사의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의 니트 경험과 극복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 중학생 대상 공감학습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