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비가열 조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Effects of Picture-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Non-Heat Cooking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변관석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133~1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가 심한 인지적 제한이 있는 발달장애 성인의 비가열 조리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성인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단일대상설계 중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비가열 조리 기술은 전체 수행 과정을 과제분석하였으며, 하위 단계별로 정반응과 오반응 여부를 측정하여 수행률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심한 인지적 제한이 있는 발달장애 성인 3명의 비가열 조리 기술 수행률은 모두 기초선에 비해 중재 구간에서 현저하게 향상되어 기능적 관계를 검증할 수 있었다. 특히 참여자 1명은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만으로 10회기 내에 성취 기준을 달성하였으며, 다른 2명은 최소촉진체계를 활용한 체계적 교수가 추가로 제공되었을 때 성취 기준을 달성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심한 인지적 제한이 있는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를 적용하여, 이들에게 중요한 일상생활 기술 중 하나인 음식 준비 정도의 간편한 비가열 조리 과제를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icture-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performance of non-heat cooking skill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moderate or severe cognitive impairments.
Method: Thre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rolled in the vocational program of a special education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A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 form of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non-heat cooking skills, was assessed by task-analyzing the entire process of a cooking task, measuring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s at each sub-step, and calculating the performance rat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non-heat cooking skills of all three participants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thereby verifying the functional relation. One participant achieved the performance criterion within 10 sessions using only the picture-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while the other two participants met the criterion after receiving additional systematic instruction using system of least promp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a picture-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severe cognitive disabilities, facilitating their ability to independently complete simple, non-heat cooking task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the intervention to support autonomy in daily living skills for this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 영유아교사의 돌봄에 대한 개념도 연구
-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강의평가 도구 개발: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계선 지적 기능 선별 척도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비가열 조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 및 예비 대학생 요구도 분석
-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초・중등 교사의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의 니트 경험과 극복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 중학생 대상 공감학습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