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7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전윤혜 김현숙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189~21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 성장마인드셋 척도를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와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여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둘째, PROCESS macro의 model 1을 이용하여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검증하였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을 통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7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성장 마인드셋 수준이 낮을수록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성장 마인드셋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논의 및 결론: 진로스트레스 상황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낮은 경우 진로적응성이 낮아져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ethod: This study surveyed 241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to measure career str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and growth mindset.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examin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adaptability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1. Thir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owth mindset through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CESS macro Model 7 was utilized.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mediate completel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career stress on career adaptability increased as the level of growth mindset was lower. Third, in the effect of career stres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d by career adaptability,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was found,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was verified. Conclus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growth mindset was low in the career stress situation, career adaptability was lowered,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윤혜,김현숙. (2025).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5 (1), 189-211

MLA

전윤혜,김현숙.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5.1(2025): 189-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