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 및 예비 대학생 요구도 분석
이용수 16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Needs of the University and Pre-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은예 조한나 박영미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233~2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과 예비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재학생과 예비 대학생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전공자율선택제가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 수요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대학 재학생 및 고등학교 2, 3학년 학생 총 546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 문항은 대학생 27문항, 예비 대학생 31문항을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요구차이 분석을 위해 추가로 t 검증 및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자율선택제 인식 관련 요구에 대해 인식, 선호 유형, 학업 도움 정도, 진로 설정 및 진로 탐색 설정 도움 정도는 대학 재학생과 예비 대학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제 운영 관련 요구에 대해 전공자율학부 선택 및 타인 추천 의향은 예비 대학생이 대학 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들의 배경 특성별 전공자율선택제 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대학 재학생 2학년이 4학년에 비해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자 예비 대학생이 남자 예비 대학생 보다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과 예비 대학생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대학 차원에서 지원하고 운영 방안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전공자율선택제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university and pre-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espite the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in numerous universiti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focusing on educational stakeholders, which underscores the need for this stud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546 participants, primarily university students and high school juniors and seniors. The survey included 27 ques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31 questions for pre-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7.0, employ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dditionally, t-test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need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university and pre-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including their overall of awareness, preferred types, and the extent to which it supports academic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concerning the de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pre-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ed a higher tendency than university students to select autonomous major departments and to follow recommendations from others. Third, an analysis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related to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based on respon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second-year university students had a higher awareness of the system than fourth-year students. Finally, female pre-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compared to male pre-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university and pre-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It can als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upport and operational measures at the university level, which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improvements to the major autonomous selec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 영유아교사의 돌봄에 대한 개념도 연구
-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강의평가 도구 개발: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계선 지적 기능 선별 척도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비가열 조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 및 예비 대학생 요구도 분석
-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초・중등 교사의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의 니트 경험과 극복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 중학생 대상 공감학습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