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ction Research on Supporting Art Experiences for Three-Year-Old Childre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유하경 최혜윤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157~18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만3세 꿈빛반 유아의 미술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실행하고, 실행과정에서 유아와 교사의 반응 및 변화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만3세 학급 유아 11명과 교사 1명이다.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3차에 걸친 실행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1차 실행은 미술경험을 위한 공간과 물질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유아가 주도적으로 미술경험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환경구성을 통해 지원하였으며, 2차 실행은 유아간의 경험이 함께 어우러져 미술경험이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3차 실행은 미술경험이 통합적 예술의 순간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실행과정은 모든 유아가 자신만의 속도와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는 열린 미술경험이었으며, 경험의 연결을 통해 통합적인 배움이 가능하였다. 교사는 유아의 경험과 배움의 가능성을 그리며 윤리적 책임을 다하며 유아와 함께 경험하고 배우는 교사가 되어갔다. 논의 및 결론: 교사는 교실에서 이뤄지는 유아의 놀이와 경험을 알고 지원하기 위해 유아, 교사, 물질이 관계 속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놀이와 경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유아의 경험을 지원하기 위해 변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implement strategies to support art experiences of 3-year-old children in the “Kkumbit” class. It also investigates the responses and changes in both children and teacher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Method: The study involved 11 three-year-old and one teacher. Based on Kemmis and McTaggart’s (1998) action research model,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cycles of implementation. Results: The first cycle focused o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allowed children to take the lead in their art experiences by reassessing the space and materials available for art activities. The second cycle supported the continuation of art experiences among children to extend and enrich their art practices. The third cycle aimed to facilitate integrated moments of art experiences, transforming them into holistic artistic expressions. Throughout the implementation, the art experiences provided an open framework where all children could engage at their own pace and in their unique ways. The teacher evolved into a supportive figure who shared experiences and learning with the children, embracing ethical responsibility while envisioning the possibilities of children's experiences and growth. Conclusion: To understand and support children's play and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teachers need to consider how play and experiences are co-constructed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teachers, and materials. Furthermore, effor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how children's experiences continue and contribute to holistic learning, facilitating meaningful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하경,최혜윤. (2025).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교육혁신연구, 35 (1), 157-188

MLA

유하경,최혜윤. "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교육혁신연구, 35.1(2025): 157-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