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 지적 기능 선별 척도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수 32
-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Screening Scales for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S: A): Focus o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박수진 홍상황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학생용 경계선 지적 기능 선별 척도(Screening Scales for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dolescent, BIF-S: A)를 구성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기존 연구들에서 경계선 지적 기능 청소년이 나타내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는 예비문항을 도출하여 중고등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선정된 최종 62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드롤 확인하기 위해 중학생 677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BIF-S: A의 전체 문항과 하위영역별 내적 합치도는 .85~.97(중앙치 .87)이었다. 둘째, BIF-S: A의 점수와 관련 검사 점수와의 상관은 -.42~.82범위(중앙치 -.57)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계선 지적 기능 중학생과 정상 중학생의 BIF-S: A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계선 지적 기능으로 분류된 중학생의 BIF-S: A 점수는 정상 중학생의 BIF-S: A 평균에서 2 표준편차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IF-S: A 부적응지표 점수를 사용하여 정상과 경계선 집단을 판별분석한 결과, 전체 분류 정확률 90%이었고, 정상 집단의 적중률은 96.2%, 경계선 집단의 적중률은 81.6%이었다. 논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BIF-S: A는 경계선 지적 기능 중학생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고 진단하는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BIF-S: A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경계선 지적 기능 중학생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reening Scales for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dolescent(BIF-S: A)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 Preliminary items reflecting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BIF, a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were derive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15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ading to the election of 62 final item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examined by administering the scale to 677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Firs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BIF-S: A across all items and subdomains ranged from .85 to .97.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IF-S: A scores and related test scores ranged from -.42 to .82. Third, an analysis of the BIF-S: A sco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classified as having BIF scored more than two standard deviation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s of the typical group. Fourth, a discriminant analysis using the maladaptive behavior index score yielde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90%, with a hit rate of 96.2% for the typical group and 81.6% for the borderline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BIF-S: A is an effective tool for screening and diagnos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IF. Its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may facilitateearly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BIF while reducing time and cos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 영유아교사의 돌봄에 대한 개념도 연구
-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강의평가 도구 개발: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계선 지적 기능 선별 척도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 그림 촉진 기반의 자기 점검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비가열 조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의 미술 경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의 매개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대학 재학생 및 예비 대학생 요구도 분석
- AI 리터러시와 윤리 인식이 초・중등 교사의 AI 학습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의 니트 경험과 극복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 중학생 대상 공감학습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