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97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 in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고은선 심태은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213~23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이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D대학교 2024학년 신입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에서 유효한 735명의 응답결과만을 분석하였다. 변인에 대한 기초통계 및 학생의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t-test),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구조방정식 모형(SEA)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을 학생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인문과 자연계열 모두 내재적동기가 높고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은 자연계열이 높게, 모집단위는 학부제가 전공선택 외재적 동기와 전공만족도, 학과(전공)제는 전공선택 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에서 높게, 입학전형은 수시가 모든 변인에서 높게, 성별은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선택 내재적 동기와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전공선택 외재적 동기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대학생들이 전공선택을 할 경우 내재적‧외재적 동기를 반영하여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대학 및 사회차원에서의 지원 체제 구축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통해 다루어야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university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for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er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between motivations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with the goal of deriving meaningful implication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reshmen enrolled at D University in Seoul in 2024, and only valid responses from 735 participa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ased on student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was tested by analyzing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Results: The analysi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student characteristics showed that both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students had high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natural sciences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Regarding admission units, students in the faculty system showed higher levels of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major satisfaction, while those in the department (major) system had higher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In terms of admission typ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early admission process scored higher across all variables, an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for extrinsic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s at both university and societal levels to enable university students to make career decisions by considering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when selecting their majors. It also outlines areas to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and student support in this area. Discussion an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and societal support systems that enable university students to make career decisions by considering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when selecting their maj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선,심태은. (2025).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5 (1), 213-232

MLA

고은선,심태은. "대학생의 전공선택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5.1(2025): 213-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