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이용수  16

영문명
Analysis of Differences in Tasks, Personnel, and Outcomes by Type of School Support Specialized Organiz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오혜근 이다현 나민주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1호, 67~8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시·도교육청별로 다양하게 운영되는 학교지원 전담조직을 조직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조직유형에 따른 과업과 구성원,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지원기능 강화를 위한 조직구조 운영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계선적 집권형, 계선적 분권형, 전문적 집권형, 전문적 분권형으로 조직유형이 구분되는 7개 시·도교육청의 학교지원 전담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통해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조직유형에 따른 과업과 구성원, 성과에 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업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세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명확성과 표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업무협력은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구성원 전체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세부 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과 전체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적 집권형, 계선적 집권형, 전문적 분권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교지원기능 강화를 위한 조직구조 운영 방향으로 첫째, 본청에 학교지원기능을 총괄하는 총괄부서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둘째, 교육지원청에 학교지원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센터 형태의 조직을 설치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classify school support organizations, which are operated diversely across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based on their organizational types.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asks, personnel, and outcomes among these organizational types. The goal was to identify effective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strengthening school support function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school support organizations in seven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categorized into hierarchical centralized, hierarchical decentralized, professional centralized, and professional decentralized organizational types.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asks, personnel, and outcomes using one-way ANOVA and post-hoc tests. Results: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verall tasks. However, sub-area, clarity, and standardiz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ask cooperation still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personnel characteristics or in sub-area analyses. Third, the professional centralized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effectiveness, followed by the hierarchical centralized and professional decentralized type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enhancing school support functions: First, a central department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main office to oversee and coordinate school support functions. Second, a center-type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t education support offices to comprehensively perform school support fun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혜근,이다현,나민주. (2025).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교육혁신연구, 35 (1), 67-89

MLA

오혜근,이다현,나민주. "학교지원 전담조직의 유형별 과업, 구성원, 성과 차이 분석." 교육혁신연구, 35.1(2025): 67-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