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46

영문명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Young Children’s Aggressi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아 현은자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19~24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간에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성별에 따른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3-5세 유아 어머니 1,0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가 배부되었으며, 최종적 연구대상은 438부이었다. 연구 분석은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구조모형의 경로분석을 하였다. 둘째, 변인 간에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Bootstrapping 방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유아의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공격성 간에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공격성 간에는 유의한 경로가 존재하지 않아,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공격성 간에 정적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남아보다 여아에게 더 높은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young children's aggressi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gender of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009 mothers of 3-5 year-old children in J-city, Gyeongsangnam-do, and the final study subjects were 438. The research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he fit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were verified, and path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was done. Second, the mediator effect was analyzed, and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Third, multiple-group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gender.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young children's aggression, respectively, and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Moreover,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affected young children's aggression significantly. Second,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aggres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pathway between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young children's aggression, so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young children's aggression. Third, according to the gender of young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young children's agg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아,현은자. (2018).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2), 219-248

MLA

박정아,현은자.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2(2018): 219-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