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용수  12

영문명
The Professional Performance of Teachers in Infant-Toddler Classe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남연정 최석란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43~17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 3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radley(2009/1980)가 제시한 분류분석(Taxonomic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들은 물리적인 환경 구성하기, 보육과정 실행하기, 기본생활습관 지도하기, 부적응 행동 지도하기, 애착 및 신뢰관계 형성하기, 부모 및 동료와 관계 맺기, 교육자로서의 신념 갖기, 자기를 존중하고 관리하기, 전문성을 향상시키기의 영역에서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을 제시하였다. 영아보육은 개별 영아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높게 요구되므로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은 영아개인의 기질적 특성을 잘 알고 상호작용하는 것이며, 단계를 더 많이 나누어 세세하게 지도하고 교사가 시범을 더 많이 보이는 교수를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영아는 돌봄을 강조하지만 활동자료를 준비하고 보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계획과 실행, 반성적 사고, 전문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 등 더 유아반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자질 또한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영아반 교사의 인성적 성향이 전문적 수행에서 중요하게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영아반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적 능력과 자질이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정의적 성향도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al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To this end, 52 child care teachers in both Seoul and the Gyeonggi-do Province who currently work in an infant-toddler clas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Taxonomic Analysis Method by Spradley (2009/1980). The results of thise study, are as follows. Infant-toddler educare consisted of knowing and interacting well with the temperamental traits of infants and toddlers, as well as having a teaching ability that divided tasks into steps to show more details. Additionally, teachers showed much more demonstrations. The skills and qualities required for teachers of older children could also be considered important, such as plan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efforts to enhance reflection and professionalism.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personality traits of childcare teachers was critical in profess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fessional skills required for teachers of infant-toddler classes are not limited to just knowledge and technical aspects, but also include personality trai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연정,최석란. (2018).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2), 143-170

MLA

남연정,최석란.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2(2018): 143-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