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의 변화
이용수 6
- 영문명
-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Change of Children according to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Media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81~11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에 따른 만 4세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변화를 분석하여 유아사회정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총 18회기 개발하여 9주간 1주에 2회씩 만4세반 25명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참여관찰과 평가 후 면담, 심층면담, 전화통화 및 이 메일 교신, 그리고 교사저널, 연구일지 등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자료 분석인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 4세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변화는 자아개념, 사회적 능력(성인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규범인식), 정서적 능력(정서조절, 정서인식 및 표현)에 따라 사회정서능력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이는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놀이는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함양을 시킬 수 있는 활동이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사회정서의 실제와 실천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cial emotional changes-of 4-year-old children brought about by dramatic-playing activities using ecological media. To this end, activities using ecological media were developed and used with 25 children 18 times (twice a week for nine weeks).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post evaluation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telephone calls and e-mail communication as well as, teacher journals and research journal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inductiv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ocial emotional changes of 4-year-old childre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lf-concept, social competency_(adult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norm recognition) emotional competency_(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 and sensibility. These results, show that dramatic play using ecological media can bring about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dramatic play using ecological media could be used as practical activities 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to help develop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영아반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민감성에 관한 연구
- 고령화 사회 그림책에 재현된 노인 정체성
- 유아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독서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 및 부모의 반응
-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의 변화
-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