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영문명
The Effect of Infant Father’s Interaction on Infant development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정 김종훈 변혜원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71~18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영아 56쌍이며, 영아-아버지 간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발달 선별검사(K-D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ɑ,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아버지는 상호작용에서 지지하기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둘째, 영아 아버지의 지지하기 전략은 영아의 인지, 사회성, 자조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 아버지의 명명하기 전략은 영아의 인지발달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 유형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infant father’s interactions are related to infant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56 pairs of infant-fathers in Seoul, Gyeonggi-area.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fants and their fathers were observed, and K-DST developmental screening was perform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father interaction was used as a strategy to focus the attention of the infant. Second, infant father’s support of the infant’s focus of attention affects infant's cognition, sociality, and self-help development. Third, language inputs(naming, asking ques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cognitive development.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aspects of the infant father's intera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김종훈,변혜원. (2018).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2), 171-189

MLA

김민정,김종훈,변혜원. "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2(2018): 171-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