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nalysis of Robot’s Characters Portrayed i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안 문선영 김은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3~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 출판된 창작그림책 중 로봇이 등장인물로 나타난 그림책들을 대상으로 로봇 등장인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로봇 등장인물의 비중 및 등장배경, 로봇 등장인물의 외적 이미지, 로봇 등장인물의 의인화 방식, 로봇 등장인물과 주변인물과의 관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로봇 등장인물은 로봇이 주된 역할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등장배경은 로봇을 만드는 곳, 집 등 인간의 생활공간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로봇 등장인물의 외적 이미지는 인간과 유사한 형태이거나 장난감 로봇의 형태, 성별은 대부분 남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 등장인물의 의인화 방식을 살펴본 결과 인간처럼 말을 하거나 옷을 입는 등 외형적 의인화 방식이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로봇 등장인물과 주변인물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로봇 등장인물은 사람, 동물과 가장 많이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인간에게 도움을 주거나 위안을 주는 등의 긍정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현대 그림책에 다양한 모습의 로봇 등장인물을 제시하고 로봇과 인간의 관계를 반영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성인은 유아에게 그림책을 제시할 때 유아들이 로봇에 대한 현실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여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robot characters in picture books. We analyzed the characters of the robots in picture books based on the importance and appearance background of the robot characters, the external images of the robot characters, the personification method of the robot charac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bot characters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obots mostly appeared as the main roles of the robot characters, and the appearance background was the same as the human living space such as the place where robots are made and houses. Second, the external images of the robot characters appeared in the form of humanoids or toy robots and appeared as males.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way of personifying the character of the robot, the outward form of personification such as talking or dressing like a human appeared and often showed positive emotions.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bot characters and surrounding characters, robot characters showed the most positive relationship with human beings and anim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s in modern picture books consist of various robots, that they should reflec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obots and humans, and that children should contribute to forming a realistic image of robots when presenting picture books to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영아반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민감성에 관한 연구
- 고령화 사회 그림책에 재현된 노인 정체성
- 유아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독서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 및 부모의 반응
- 영아반 교사의 전문적 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의 변화
-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