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원(Dongwon Lee) 윤주혁(Juhyuk Yoon) 임윤진(Yunjin Lim) 정동훈(Donghoon Jeong) 김승현(Seu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3호, 141~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발명교육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추후 3, 4학년 군으로의 확장이나 늘봄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의 확장으로 초등학교 전 학년에 걸친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발명교육 전문가 3인이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 교과서 16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견에 대한 추가 논의를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학년 통합교과 교과서 내 발명교육 내용 분석 결과, 발명교육 내용이 총 67회 등장하고 있었으며 2학년에서는 총 106회가 등장하고 있었다.
둘째, 학년별 발명교육 내용 반영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을 때, 1학년보다는 2학년에서 더 많은 발명교육 내용이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1학년에서 14개, 2학년에서는 21개의 발명교육 내용표준 하위요소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학년별 위계적인 구조에서도 발명교육의 내용이 구별되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 및 5, 6학년 실과 교과가 양축이 되어 향후 초등학교 발명교육이 전 학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교과에서 다루어진 발명교육 내용의 다양성을 통해 앞으로 발명교육 내용의 발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of invention education included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tudents. This analysis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extension of invention education to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nd for its broader implementation across all grades via the “Neulbom”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invention education experts analyzed 16 integrated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ed additional discussions on any disagre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vention education content appeared 67 times in first-grade textbooks and 106 times in second-grade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invention education is not explicitly addressed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related content appears frequently.
Secondly,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vention education by grade, it was observed that the second grade exhibited a greater amount of content than the first grade. Specifically, 14 sub-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s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grade compared to 21 sub-elements in the second grade.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content of invention education is systematically integrated in accordance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across different grade levels.
To conclude,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potential to implement invention education across all elementary school grades has increased, with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and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serving as the two axes. Furthermore, the diverse invention education content within the integrated curriculum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its further developmen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