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4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that Teacher Efficacy Has on Age Four Preschool Teachers'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차봉진 홍순옥 김근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251~2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4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4세 누리과정의 실행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유아교육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아교사에 대한 효능감 및 사회전반의 관심을 제고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B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4세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 Scheffe사후분석, Pearson's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연령과 경력,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4세 누리과정의 실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세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누리과정 실행수준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4세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개인적 효능감이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ement the Nuri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4-year old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objects are 311 preschool teachers who manage and teach the age four Nuri curriculum at preschools and day care centers in city “B”. The research tools are survey from Son Suyeon’s (2012) research is supplemented and revised to study the practice level of the preschool teachers and surveys from Kim Jungjoo (2003) and Kim Eunmi’s (2013) research are supplemented and revised to study the teacher efficacy. For the research analysis method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 and one-way ANOVA are performed, Scheffe Test is performed for pos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the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for th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age four children is 3.84,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3.00, out of 5.00. Also, in relation to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it is shown that as age and number of years in experience are higher the level of practice for the Nuri curriculum is also higher. Second, the teacher efficacy for th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age four children is 3.79,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3.00, out of 5.00. The general teacher efficacy is found higher than the personal teacher efficacy.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following order: age, experience, and education level of the teachers. Thir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and the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 of age four childre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and the efficacy of th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age four children in detail, education method showed the highest mutuality in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education assessment was the next highest. Through these results, one can acknowledge that overall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a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age four children. Fourth, the teacher efficacy of th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age four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The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are the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the personal teacher efficacy. Higher the teacher efficacy, higher the Nuri curriculum practice level of th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age fou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반 교사 민감성척도 개발 연구
-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동작 교수내용지식 변화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 및 긍정적 착각의 구조적 관계: 4년제 일반대학교와 2, 3년제 전문대학교 비교 연구
- 「아기 돼지 삼 형제」옛이야기를 원전(原典)으로 한 크로스오버 작품 분석 (문학, 애니메이션, 인터넷 광고 중심으로)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와 실행경험
- 명화감상 후 확장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차이 비교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모리스 샌닥(Maurice Sendak) 그림책에 나타난 양가성의 의미 탐구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조부모 활용 전래동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분석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4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동화·동시 활동의 언어적 구성요소 분석
- 여성중심 비평으로 그림책『엄마가 수놓은 길』읽기
- P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희망
-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논픽션도서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 칼데콧 수상 그림책에 나타난 밤의 의미 탐색
- 다문화 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변화 양상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장애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의 또래괴롭힘에 대한 교사와 부모 인식비교 연구
- 흙을 활용한 자유선택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이야기를 이끄는 숨겨진 힘
- R-러닝에서 유아의 다면적 능력 평가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유아교육기관 R-러닝 적용가능성과 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