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 및 긍정적 착각의 구조적 관계: 4년제 일반대학교와 2, 3년제 전문대학교 비교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sychological Well-Being, Self-Resiliency and Positive Illusio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University-Level and in College-Leve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325~3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교와 전문대학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긍정적 착각 및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고 이들 세 변인간 구조적 관련성이 학교 급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597명이며, 자아탄력성, 긍정적 착각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긍정적 착각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에서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이며, 긍정적 착각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하여 간접효과만을 보였다. 일반대학교 및 전문대학교 예비 유아교사 간 이들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있어서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집단 불변성 검증에서 구조계수를 포함한 모든 제약모형에서 동일성이 나타나, 학교급별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착각이 심리적 안녕감과 맺는 구조적 관계의 형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정서중재 프로그램과 자아탄력성 및 긍정적 착각 고양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ositive illusion, self-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ulti-group invariance is also tested. A total of 597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e analysis using all participants,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self-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The same was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positive illusion on self-resiliency. No significant effect of positive illus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but positive illusion h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 via the sports confid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Using multi-groups invariance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university-level and counterparts in collegelevel,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hierarchical structural models from unconstrained model to measurement residual model. Therefor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positive illusion, self-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lmost same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university-level and counterparts in college-level, The results of pair-wise parameters comparison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university-level and counterparts in college-level in the magnitude of path coefficients from self-resiliency to psychological well-being. No difference were also found in the magnitudes of path coefficients for the influence of positive illus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for the influence of positive illusion on self-resiliency. The results suggests the importance of emotion promotion program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omoting self-resilience and positive illus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반 교사 민감성척도 개발 연구
-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동작 교수내용지식 변화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 및 긍정적 착각의 구조적 관계: 4년제 일반대학교와 2, 3년제 전문대학교 비교 연구
- 「아기 돼지 삼 형제」옛이야기를 원전(原典)으로 한 크로스오버 작품 분석 (문학, 애니메이션, 인터넷 광고 중심으로)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와 실행경험
- 명화감상 후 확장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차이 비교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모리스 샌닥(Maurice Sendak) 그림책에 나타난 양가성의 의미 탐구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조부모 활용 전래동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분석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4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동화·동시 활동의 언어적 구성요소 분석
- 여성중심 비평으로 그림책『엄마가 수놓은 길』읽기
- P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희망
-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논픽션도서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 칼데콧 수상 그림책에 나타난 밤의 의미 탐색
- 다문화 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변화 양상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장애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의 또래괴롭힘에 대한 교사와 부모 인식비교 연구
- 흙을 활용한 자유선택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이야기를 이끄는 숨겨진 힘
- R-러닝에서 유아의 다면적 능력 평가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유아교육기관 R-러닝 적용가능성과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