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수지의 그림책『동물원』연구 - 기호학적 관점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Zoo” by Lee Su-zy - in terms of Semiotic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227~2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작가 이수지가 2004년에 출판한 그림책 『동물원』을 기호학적관점에서 분석 하여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정확하고 재미있게 그렸는지를 확인하고 밝히고자 했다. 그 분석방법은 “기호 사각형”에 작품을 대입하여 주인공 소녀의 행동양상과 의미의 진위를 증명 하였다. 따라서 그레마스의 설화도식4가지 중 주인공의 ‘역량’과 그것이 나타나는 ‘양상’을 중심논의로 삼았다 .그 결과 주인공 소녀가 동물원에서 경험한 환상이 어떻게 현실에서 균형을 이뤘는지 증명이 되었다. 동물들과 뛰어 놀았던 것은 실제이기도하고 환상이기도한데 이 둘의 경계이자 접합지점은 소녀의 신발과 잃어 버렸던 풍선이었다. 독자는 환상과 실제는 현실에 공존하기에 세 인물들 모두에게 사실이 됨을 알 게 된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 작품은 작품성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제대로 된 평가나 언급이 없었던 점도 말했다. 『동물원』은 작가가 그림책에 대한 애정과 열정, 시도를 다양하게 쏟아낸 작품이라고 고백한바 있다. 따라서 이수지의『동물원』을 선정해 작품성을 검증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Zoo”, a picture book written by Lee Su-zy and published in 2004,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to see if the demarcation of fantasy and reality is described exactly and interestingly. The method of analysis is to verify the heroin's aspect of action and authenticity of meaning by substituting this work into the semiotic rectangle, a tool for verifying the “Semiotic Square”. Therefore,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capacity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modality which it represent among the four types of Greimas’s Schema of Narrative Story. As a result it was proved how the girl heroin’s experienced fantasy at a zoo achieved a balance in reality. While the fantasy experience that the girl underwent in gamboling with animals is both real and illusory, the demarcation and the connection point are the shoes and the balloon which she lost. It is proved as true that to the girl and animal, the illusion would be a fact and that to the parents, it would be a lie. Furthemore, the effect that readers come to know that it becomes true to all the three characters since the actuality and the fantasy coexist in reality can be verified.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no proper evaluation or reference all the while despite excellent literary value of the work. Lee Su-zy mentioned that her love, zest, and trials for picture book were devotedly and diversely attached to “The Zoo”. Thus, “The Zoo” written by Lee Su-zy was selected and its literary value was verified.
목차
Ⅰ.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Ⅱ. 기호학과 이수지의 그림책
Ⅲ. 현실 속 환상존재의 진리를 증명하는 공간,『동물원』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러닝 통합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로봇 수용성 양상에 관한 연구
- 그림책에 나타난 이웃의 특성
-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
-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의 효과
- 유아의 인지능력과 창의성이 상상적 내러티브 구조의 통일성과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그림책『100만 번 산 고양이』의 구조분석을 통한 교육적 이해
- 이수지의 그림책『동물원』연구 - 기호학적 관점으로-
- 만 3세 유아반의 유아-교사, 유아-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 K어린이집의 24시간 보육이야기
-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작활동 분석
-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 탐구 : 픽션과 논픽션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육색 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동화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