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 탐구 : 픽션과 논픽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the Role of a Teacher's Questioning During the PictureBook Reading Process: Focus on Fiction and Nonfi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심향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림책은 장르에 따라 분류해본다면 크게 픽션과 논픽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픽션과 논픽션 그림책들을 활용하여 아동들과 읽는 과정에서 교사의 발문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교사들은 픽션인 이야기그림책은 이야기의 즐거움을 전달하고 아동들의 상상력을 수용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발문하였다면, 논픽션인 정보그림책은 정보를 알리고 설명하며 또한 아동들이 지니고 있는 선행지식들을 끌어와 다양한 정보 소통을 이끌 수 있도록 발문하였다. 이처럼 교사는 장르에 따라 발문의 초점을 달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픽션과 논픽션이라는 형식은 다르지만 그림책은 어떤 장르이건 아동들의 주변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야기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지식을 연상하고, 정보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경험이야기를 나누는 등 그 통합적 사용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다양한 장르의 그림책을 자유롭게 선정하고 서로 교차하며 읽을 수 있는 융통성이 요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a teacher's questioning during the reading of informational picturebooks and story picturebooks for children. Thus I tried to understand the role of a teacher's question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and how its context was made by a teacher. This study 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I have observed five six-year-old children and a teacher within the context of shared informational picturebooks and story picture books in a small group. Teacher showed different focus on questioning depending on genre. While she focalizes on children's idea by imaging, guess, foretell during story picturebook reading, she focalizes on children's opinion by recall, compare, contrast during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ing. But I found integrated approach by story picturebook and informational picturebook. In addition to teacher can be used informational picturebooks during interactive reading contex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맥락
Ⅲ. 장르에 따른 교사의 발문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러닝 통합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로봇 수용성 양상에 관한 연구
- 그림책에 나타난 이웃의 특성
-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
-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의 효과
- 유아의 인지능력과 창의성이 상상적 내러티브 구조의 통일성과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그림책『100만 번 산 고양이』의 구조분석을 통한 교육적 이해
- 이수지의 그림책『동물원』연구 - 기호학적 관점으로-
- 만 3세 유아반의 유아-교사, 유아-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 K어린이집의 24시간 보육이야기
-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작활동 분석
-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 탐구 : 픽션과 논픽션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육색 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동화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