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Small-Group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with Media Literacy Approach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정지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309~33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 개인 및 기관 수준에서의 전문성 신장을 조력하여 향후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부응할 유아교사교육의 한 선진화된 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및 교사 간 의사소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미디어와 콘텐츠를 선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장의 소그룹 교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다문화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하여 그 의미 및 현장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직유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후, 관련 문헌고찰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에 기초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구성은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의 차원과 목표에 따른 실천수준(기념적접근, 변혁적접근)을 고려한 다양한 미디어 자료의 발굴 및 소개, 해석, 활용 등의 요소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개발 후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사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사교육 종료 후 참가 교사 10명이 참여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도출해 보았다. 참여교사들은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통해 다문화의 영역을 자신들의 일상으로 연결시키는 모습을 보였으며,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 문화적 상대성에 대한 이해 제고와 기존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반성을 기초로 수업을 새롭게 창안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이루어질 유아다문화교사교육은 다양한 미디어의 활용과 의사소통이 바탕이 된 구체적인 수업사례분석 및 워크샵의 형태로 변모해야 할 필요성 등이 주요한 논의점으로 부각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ll-group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with media literacy approach. Prior to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program, a review of literature and surveying 350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dentifying elements of the program and their need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identified program elements and teachers' needs for the program, the content of the program was composed mainly of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arching and using a variety of media content suitable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ing a creative lesson plan. The instructional format allocated for the program were theoretical lecture, a critical reading of media content through the workshop and the presentation of instructional analysi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 40 teachers for 8 week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participant teachers after 8 weeks showed that they could broade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into their everyday life, and that by attempting critical reading of media contents with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y could rethink their current classroom instruction with the insight gained from the critical reading of the media.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partially to be transformed as a format of small learning community in which teachers' interactions with their everyday lives and other teachers are encourag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현. (2014).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 (2), 309-337

MLA

정지현.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2014): 309-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