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

이용수  8

영문명
Picturebooks for Everyone Beyond the Disability and the Non-disability from New Cultuĝnitive Perspective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신혜은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79~10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인류 역사의 문화적 산물인 책의 보편적 설계와 관련하여 ‘모두를 위한 그림책’ 개념의 출현과 의미, 그리고 ‘모두를 위한 그림책’의 문화예술교육적 권리를 새로운 문화인지 형성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의 구체적인 상을 분석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모두를 위한 그림책’의 의미를 ‘권리’의 측면과 ‘역사’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모두를 위한 그림책의 범주와 구체적인 사례는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가 지난 28년간 전 세계 출간도서를 토대로 선정한 ‘IBBY 장애를 지닌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좋은 책’ 목록을 토대로 분석해 보았다. 결과 ‘모두를 위한 그림책’ 범주는 첫째 손을 통한 언어적 전달의 수화그림책, 둘째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체계를 사용하는 BLISS, PCS, 픽토그램책, 셋째는 촉각 채널을 사용하는 점자, 헝겊 그림책, 넷째는 쉬운 언어, 다중언어, 서체의 크기 등을 고려한 읽기 쉬운 책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그림책의 예들을 제시하였다. 논의에서는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그림책에 대한 보편적 접근과 체화인지적 관점에서의 의미, 장애를 보는 관점에서의 변화, 그리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발달적 특성을 지닌 독자를 위한 ‘모두를 위한 그림책’의 문화예술교육적 타당성과 새로운 문화인지 매개체로서의 가치를 제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validity and value of 'Books for everyone'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to show that books are important cultural products within human history, and to seek how specific forms of picturebooks are applied among various communicational channel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first described meanings from children’s rights and the history of 'Books for all'. Then the study investigated various forms of picturebook examples among the 2007, 2009, 2011, 2013 catalogues titled 'IBBY(International Board on Books for Young People), Outstanding Books for Young People with Disabil ties'. As a result, there were presented four categories in picture books: 1) sign language picturebooks which conveyed linguistic meanings using hands, 2) BLISS, PCS, Pictogram picturebooks which applied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al systems based on images, 3) braille, clothed picturebooks which implemented tactile channel to read text and images, and 4) easy-to-read books which considered the text type, size of book, etc. This study discussed several points such as universal approaches regarding picturebooks, meaning of embodied cognition, changes in point of view about disabil ties, looking beyond the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disabil ties and people without disabil ties. Some implications and the validity of 'Picturebooks for everyone' for all readers with various development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eir life from new cultuĝnitive perspective were suggested.

목차

I. 들어가며
Ⅱ. ‘모두를 위한 그림책’의 의미와 역사
Ⅲ. ‘모두를 위한 그림책’의 사례
Ⅳ. 나가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은. (2014).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 (2), 79-100

MLA

신혜은.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2014): 79-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