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287~3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중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42명이며, 평균월령은 67.38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서는 명화를 활용한 과학토론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측정을 위해 서윤희(2003)가 수정·보완한 과학탐구능력 검사도구, 그리기표상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지성애(2001)가 개발한 그리기표상능력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orty-two, 5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C kindergartens in G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7.38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scientific discussion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The ‘science process skills scale (Seo, 2003)' and the ‘drawing representation scale (Ji, 2001)' were used in the process of data-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2.0 computer program and a T-test was used to measure significanc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in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러닝 통합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로봇 수용성 양상에 관한 연구
- 그림책에 나타난 이웃의 특성
-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
-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의 효과
- 유아의 인지능력과 창의성이 상상적 내러티브 구조의 통일성과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그림책『100만 번 산 고양이』의 구조분석을 통한 교육적 이해
- 이수지의 그림책『동물원』연구 - 기호학적 관점으로-
- 만 3세 유아반의 유아-교사, 유아-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 K어린이집의 24시간 보육이야기
-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작활동 분석
-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 탐구 : 픽션과 논픽션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육색 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동화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