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이용수 5
- 영문명
- Exploring of Creativity Change Process by Young Children's Playfulness Leve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호 유영의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33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놀이성과 창의성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이 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소재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총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성은 Barnett(1990, 1991)이 제작한 아동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교사 평정으로 조사하였고, 유아의 창의성은 전경원(2001)의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은 신체적 자발성을 제외하고는 놀이성의 다른 하위 요소 및 전체 점수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성 수준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및 변화과정에서는 놀이성이 높은 집단의 유아들이 낮은 집단의 유아들보다 창의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놀이성의 수준에 따라 창의성의 변화 양상은 서로 다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의성과 놀이성 수준은 관련이 있으며,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다양한 놀이 맥락 속에서 자연스러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For a long time, creativity has been of great interest to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like. At core of this interest are the causes of creativity. Generally, creativity was perceived as a primary function of various personal trait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layfulness, and to seek of creativity change process by young children's playfulness level. Subjects were 102 male and female 4 years old in kindergarten.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are CPS and KFCTYC. CPS(Children's Playfulness Scale) is test for playfulness. KFCTYC(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is test for crea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5.0 program and t-tes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playfulness is exist on physical spontane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creativity. Seconds, creativity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playfulness except flue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 유아기 부모의 독서지도 인식 및 실태
-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 번역 그림책에 반영된 시대문화
-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 그림책을 이용한 수학교육 계획안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 활용정도와 그림책 활용방법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