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 Review of Researches on Children's Responses to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채종옥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5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실행된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연구 49편을 대상으로 연구들의 관련 변인, 반응 수집 방법을 분석하고, 연구들이 분석한 반응 유형을 Sipe(2008)가 제시한 반응유형 분석틀에 기초하여 재분석하고, 재분석한 반응유형을 반응 수집 방법별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반응 관련 변인 분석은 텍스트, 환경, 유아로, 반응 수집 방법 분석은 ‘비구조적상황’, ‘구조적 상황’ ‘비구조적․구조적 상황’으로 구분하였고, 반응유형의 재분석은 Sipe가 제시한 5가지 반응유형(분석적 반응, 텍스트 융합적 반응, 개인적 반응, 몰입적 반응, 수행적 반응)에 기초하여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들이 설정한 반응 관련 변인은 ‘텍스트’가 가장 많았고, 반응 수집 방법으로는 ‘비구조적 상황’과 ‘구조적 상황’이 ‘비구조적․구조적 상황’보다 많이 활용되었다. 또 연구들의 반응유형을 재분석한 결과, ‘분석적 반응’이 재분석된 연구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텍스트 융합적 반응’과 ‘수행적 반응’이 재분석된 연구는 적었다. 재분석된 반응유형을 반응 수집 방법별에 따라구분한 결과, ‘비구조적 상황’에서는 Sipe(2008)가 제시한 반응유형이 모두 재분석된 연구의 수가 많았으며, ‘구조적 상황’ 에서는 관련 연구 모두에서 ‘분석적 반응’이 재분석되었다. ‘비구조적․구조적상황’ 에서도 ‘분석적 반응’이 다른 반응유형에 비해 많이 나타났으나, 관련 연구의 수가 부족하였으므로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유형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그림책 감상 전략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49 researches on children's responses to picture books, which were conducted from 1995 to 2010 in Korea. The review focused on four questions. What were the research variables which were treated as relevant to children's responses? Which research methods were administered to collect children's responses? What response-styles of children according to Sipe's framework(2008) were analysed? Were th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ponse styles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review were as follows: 1) The research variables most frequently conducted as relevant to the children's responses to picture books were the ‘text’. 2) The research method most frequently applied to collect children's responses were the ‘unconstructed situation’. The next were the ‘constructed situation’ and the last were the ‘mixed(combined with unconstructed and constructed) situation’. 3) The most frequently reanalysed children's response-styles was the ‘analytical responses’. The second was the ‘personal responses’, the third was the ‘transparent responses’, the forth was the ‘inter-textual responses’ and the fifth was the ‘performative responses’. 4) The response styles of children varied with the research methods; in case of the ‘unconstructed situation’, almost of the Sipe's five response styles were found, and in cases of the ‘constructed situation’, the ‘analytical responses’ were the most frequently found, but in case of the ‘mixed situation’,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any trend. because the number of relevant researches were not enough.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 유아기 부모의 독서지도 인식 및 실태
-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 번역 그림책에 반영된 시대문화
-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 그림책을 이용한 수학교육 계획안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 활용정도와 그림책 활용방법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