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이용수 3
- 영문명
- The Children's Concepts about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양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65~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반 학급의 5, 6세 유아들 75명을 대상으로 글쓰기에 대한 동기, 글쓰기에 대한 효능감, 글쓰기 장르에 대한 인식, 독자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질문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선호와 글쓰기를 할 때의 유아들의 느낌에 대해 70%정도의 유아들이 긍정적이었으며 30%정도의 유아들은 부정적이었다. 글쓰기를 할 때 부정적인 정서를 갖고 있는 유아들은 그 이유를 신체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글쓰기의 목적에 대해 많은 수의 유아들은 공부와 글씨 학습을 하기 위해서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필자로서 유아자신에 대해서는 70%정도의 유아들이 긍정적인 효능감을 갖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자신이 글씨 자체를 잘 쓰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은 일반적으로 좋은 글을 쓸려면 좋은 내용을 써야한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글쓰기 장르는 기능적(functional) 쓰기와 서사문(narrative) 쓰기였으며 실제적으로 가장 많이 쓴 장르는 서사문(narrative) 쓰기와 시(poetry) 쓰기였다. 그리고 유아자신이 쓴 글을 읽을 독자에 대해서 70%정도의 유아들이 타인을 독자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30%정도의 유아들은 자신을 독자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아들의 글쓰기에 대한 동기와 효능감 및 독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양한 장르에서의 글쓰기 활동을 권고하는 교육적 제언이 함께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ildren's concepts about writing. The subjects were 75 children aged five and six years olds in a kindergarten and a child care center. They were interviewed about personal preference and feeling about writing, young writer's efficacy, writing genres, and perception about aud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that 70% of children showed positive thinking, and 30% of children showed negative thinking about personal preference and feeling about writing, writer's efficacy. And 30% of children consider themselves as audience of their writing, and 70% of children think their parents, friends, teachers and brother and sister as audience of their writing.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hildren favorite genres were the functional writing and the narrative writ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like this. Teachers should establish teaching strategies to motivate children's positive feeling and disposition, to enhance young writer's efficacy, to write in various genres, and to consider audience in different writing genr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 유아기 부모의 독서지도 인식 및 실태
-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 번역 그림책에 반영된 시대문화
-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 그림책을 이용한 수학교육 계획안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 활용정도와 그림책 활용방법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