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Rewriting in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신원 이지양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93~1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현재 출간된 무속신화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들을 대상으로, 원전이 갖고 있는 작품 요인과 연령에 따른 독서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한 독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구체적인 개작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원전의 주제는 ‘무조신의 유래’이나, 유아용 개작 작품은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주제인 ‘효’로 변형하기도 하고 유아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무조신’을 단순화하여 일반적인 ‘신’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서사 구조는 주인공의 단선적인 행적만을 따라가는 간결한 전개로 이루어지지만, 작품마다 강조하는 부분이 다르게 나타난다. 문체에서는 리듬감과 내용의 강조를 위해 다양한 반복을 사용하며, 구어적인 종결체가 주로 나타나서 작품과 독자의 거리감을 좁혀주는 효과를 낸다. 하지만 대상 연령대를 유아용으로 제시한 작품임에도 이와 같은 유아용 작품의 특성이 보이지 않는 사례도 보인다. 이는 유아의 연령대별 개작 기준이 명확하지 않는 데에서 기인한다. 일반적이고도 명확한 연령대별 개작 기준을 만들고, 이에 따라 개별 작품들의 대상 연령을 제시하는 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ewritings for children titled . The rewritings need to mapping out a concrete standard for young children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original text and reader’s aging status. Each approaches the children story from the different viewpoints. One changes the theme to filial piety which is more accessible issue for the children. Others present the universal God instead of Mujoshin(God of shaman) in the original text. The narrative structure is simple which focuses on main character’s single-tracking achievement.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style is repetition for emphasizing some of content and creating the rhythm. Moreover, the colloquial style creates the close feeling between readers and texts. However, one of the rewritings does not reveal the characteristics for young children. Because the rewriting is not clear the standard by age group. In short, to clarify the rewriting need the concrete criterion by age group. Furthermore, suggesting the target age standard of general books based on clear evidence is requested.
목차
Ⅰ. 서론
Ⅱ. 주제
Ⅲ. 서사 구조
Ⅳ. 문체
Ⅴ. 결론
기 본 자 료
참 고 자 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 유아기 부모의 독서지도 인식 및 실태
-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 번역 그림책에 반영된 시대문화
-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 그림책을 이용한 수학교육 계획안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 활용정도와 그림책 활용방법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