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이용수 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Text and Endpaper in Informational Picture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심향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81~1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들은 그림책을 접하는 과정에서 본문의 텍스트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표제지, 면지, 속표제지, 뒷표제지 등 텍스트외적인 요소들을 함께 보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유아들이 그림책의 이야기를 감상하는 과정 뿐 아니라 정보그림책의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에도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정보그림책의 면지와 본문 정보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면지는 색을 통해 배경과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줌으로서 본문 정보와의 배경적 동질감을 준다. 또는 그림을 통해 본문 정보의 구성적 연속성을 지니거나 본문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여주고, 때로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는 이야기 그림책의 면지가 갖는 의미와 마찬가지로 정보그림책의 면지 역시 독자들의 정보를 향한 호기심을 자극하여 정보에 집중시킬 수 있는 의미로운 장으로서 바라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During read a picturebook, children read the story and information and also see the various element like cover, title, endpaper. These elements have influenced how to read the text and how to see a information. According this opi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meaning of endpaper in connection with text in informational picturebook. Endpaper in informational picturebook showed a consistency and contiuity in setting that related with information in text through the colors. And through illustration, the content of endpapers has been had consistency with plot, pieced information together, and showed additional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ext. Therefore, front and back endpapers in informational picturebook are not merely a decoration, but convey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so through the endpapers in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ers can be evoke children's curiosity and focus on inform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향
Ⅲ. 정보그림책의 면지: 정보와의 연관성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 유아기 부모의 독서지도 인식 및 실태
-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 번역 그림책에 반영된 시대문화
-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 그림책을 이용한 수학교육 계획안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 활용정도와 그림책 활용방법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