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1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Thesi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백경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23~2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연구에 필요한 자료 제공하고자 하였다.『미래유아교육학회지』,『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학논집』,『한국영유아보육학』의 6개 학술지에 게재된 36편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분야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으로는 교사가 보이는 상호작용 유형,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교사의 상호작용 촉진 방안 모색,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변인 간의 관계성 연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문헌고찰 연구, 소수계층 유아와의 상호작용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유형으로는 양적연구와 함께 질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교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유아 연령은 만5세와 영아에 치중되어 있었다. 자료수집은 관찰과 다중측정을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질적분석과 다중분석을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연구가 활성화되어야하고, 향후 일상생활지도를 포함한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유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시각에서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6 piec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studies published by『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Journal of Child Studies』,『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and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st studies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re quite poor a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hed more light on this issue. This study consists of six parts which are as follows: the types of interaction, the outcomes of the types of interaction, the searches of improvement of interaction,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action, the research of the thesis on the interaction by other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children in need. The study uses both the quantitive and qualititive methods with teachers mainly be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children involved in the study are mostly five-year olds and the rest are infants. Observation and measurements by group a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e study. The quality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variables are also in use. Studying this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s important to develop children education. Studies focusing on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 should be encouraged, especially with the intent to improve children behaviou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 유아기 부모의 독서지도 인식 및 실태
-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 번역 그림책에 반영된 시대문화
-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분석 및 그림책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정보그림책의 본문텍스트와 면지의 관계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 그림책을 이용한 수학교육 계획안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 활용정도와 그림책 활용방법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글쓰기에 대한 유아들의 개념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