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45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Art Activities of Media Art in a Kindergarten Class of 5-year-old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성민지 신혜진 이문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아트 유아 미술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과 교육적 가치를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5세 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미술활동을 지원해주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디어아트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소개한 후, 미디어아트 활동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9주에 걸쳐 이루어진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가지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들은 처음에는 미디어아트의 신기함을 발견하였다가 점차 용이함을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미디어아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술 요소와 원리에 주목하고 탐색하며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유아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더 쉽게 표상하고 여러 번의 실패를 통해 더욱 창의적인 디자인을 생산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유아들이 미술작품에 대한 저마다의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언어로 공유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이 기존의 누리과정 미술교육에서 추구하는 목적에 맞게, 유아의 흥미와 창의적 표현, 예술적 소양을 증진시키는 유의미한 활동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responses and educational value to various types of media art activities. To this end, we selected and introduced a media art application linked to the curriculum that supports voluntary art activities for children in a 5-year-old class and then observed the children"s reactions to media art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conducted over 9 weeks, four results were derived. First-born children first discovered the novelty of media art, but gradually began to take advantage of its ease of use. Second, they showed attention to,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art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media art applications. Third, children appeared to represent their ideas more easily and produced more creative designs through multiple failures. Fourth, it appeared that children shared their variou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artwork through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media art activities that promotes children"s interest, creative expression, and artistic knowledge keeping in line with the purpose pursued in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정서조절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따돌림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 : 미국의 사례를 통한 반영–쥬디 블룸의『블러버』,『이기의 집』을 중심으로
- 환경부 선정 유아용 우수환경 그림책의 특성 분석연구
- 학교준비도검사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만 5세 유아의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기질, 애착 안정성, 문제행동의 차이와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장수탕 선녀님』의 일본어판 분석을 통한 문화번역의 효용성 분석
- 은유분석(Metaphor Analysis)을 통해 본 바깥놀이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사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만 3세 유아의 자연물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유치원 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백매터(backmatter) 특징 연구 : 2015년 이후 Orbis Pictus Award 수상작을 중심으로
- 환상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의 문학적 반응연구: 백희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에 의한 그림책 읽기 - Frédéric Clément의『새벽의 새 사냥꾼』을 중심으로
- Burningham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Bakhtin의 카니발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