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상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의 문학적 반응연구: 백희나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용수 70
- 영문명
- A Study on Children’s Literary Response in the Repeated Reading of Fantasy Picture Books: Focusing on the Picture Books by Baek Hee Na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도완숙 조희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환상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문학적 반응을 질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 N구에 위치한 S병설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명이다. 참여 유아들은 2023년 11월 13일부터 12월 1일까지 다양한 준거를 토대로 선정된 백희나 그림책 4권을 일주일 간격으로 각각 3회씩 반복적 읽기를 실행하였고, 이때 문학적 반응을 연구자가 녹음, 녹화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비슷한 유형끼리 범주화, 재범주화 및 동료검증 과정을 거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상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유아의 문학적 반응 범주는 Sipe(2008/2011)의 다섯 가지 범주(분석적 반응, 상호텍스트적 반응, 개인적 반응, 동화된 반응, 연행적 반응)와 새롭게 추가된 범주인 신체적 반응이 골고루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문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교수매체로 환상 그림책의 가치를 밝혀내고,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유능한 독자의 기능이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detail the literary responses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reading fantasy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were four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S kindergarten located in N-gu, Seoul. Participating children read four fantasy picture books three times each from November 13 to December 1, 2023, and their literary responses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read repeatedly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ing similar types, re-categorizing, and peer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categories of children’s literary reactions (analytic reactions, intertextual reactions, personal reactions, assimilated reactions, and performative reactions) of Sipe (2008/2011) and newly added categories, physical reactions were equally observed.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e value of fantasy picture books as a teaching medium to help children understand literature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eachers so that competent readers can function well in the repetitive reading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정서조절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따돌림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 : 미국의 사례를 통한 반영–쥬디 블룸의『블러버』,『이기의 집』을 중심으로
- 환경부 선정 유아용 우수환경 그림책의 특성 분석연구
- 학교준비도검사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만 5세 유아의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기질, 애착 안정성, 문제행동의 차이와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장수탕 선녀님』의 일본어판 분석을 통한 문화번역의 효용성 분석
- 은유분석(Metaphor Analysis)을 통해 본 바깥놀이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사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만 3세 유아의 자연물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유치원 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백매터(backmatter) 특징 연구 : 2015년 이후 Orbis Pictus Award 수상작을 중심으로
- 환상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의 문학적 반응연구: 백희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에 의한 그림책 읽기 - Frédéric Clément의『새벽의 새 사냥꾼』을 중심으로
- Burningham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Bakhtin의 카니발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