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3세 유아의 자연물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이용수 54
- 영문명
-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Play with Natural Materials among Three-Year-Ol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진수경 이명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45~17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유아들의 자연물 놀이의 과정을 알아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E 병설유치원 사랑반 1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수집된 자료의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개념화하고 핵심 주제어와 에피소드를 재 범주화하여 대주제로 통합하였으며, 약 9개월 동안 주 2∼5회 740장 분량의 사진 자료, 50회 관찰기록, 주간·월간 교육계획을 통해 참여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자연물을 발견하고 놀이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창의적인 놀이 방법을 결정하였고, 협동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의 자연물 놀이는 자연친화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는 토대가 되었고, 자연물과 자유롭게 놀이하는 동안 폭넓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르며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로 자기 조절력을 키울 수 있어 전인적인 성장·발달에 효과적인 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는 교육적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연물과의 놀이를 계획하여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더불어 도시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도 자연물 놀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play using natural materials among 3-year-old children and explore its educational meaning. To this end, a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15 children from the Sarang class of 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The data collected were 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the content"s meaning, re-categorized into core keywords and episodes, and then integrated into major themes. Over approximately 9 month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740 pieces of photographic data, 50 observation records, and weekly/monthly educational plans, ranging from 2 to 5 times a wee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ldren determined creative play methods autonomously and improved self-efficacy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cooperative problem-solving during their play with natural materials. Moreover, playing with natural materials served as a foundation for fostering a nature-friendly attitude, enhancing a wide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promoting posi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thus contributing to holistic growth and development, suggesting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help in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y planning play with natural materials, and also offer a useful case that natural material play can be implemented even in urb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highlighting its signific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정서조절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따돌림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 : 미국의 사례를 통한 반영–쥬디 블룸의『블러버』,『이기의 집』을 중심으로
- 환경부 선정 유아용 우수환경 그림책의 특성 분석연구
- 학교준비도검사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만 5세 유아의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기질, 애착 안정성, 문제행동의 차이와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장수탕 선녀님』의 일본어판 분석을 통한 문화번역의 효용성 분석
- 은유분석(Metaphor Analysis)을 통해 본 바깥놀이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사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만 3세 유아의 자연물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유치원 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백매터(backmatter) 특징 연구 : 2015년 이후 Orbis Pictus Award 수상작을 중심으로
- 환상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의 문학적 반응연구: 백희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에 의한 그림책 읽기 - Frédéric Clément의『새벽의 새 사냥꾼』을 중심으로
- Burningham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Bakhtin의 카니발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