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5세 유아의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기질, 애착 안정성, 문제행동의 차이와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Care Experiences and Temperament, Attachment Security, and Problem Behaviors in 5-Year-Ol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영 황은희 정영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73~1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이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라 영아 기질, 애착 안정성과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 2, 3, 6차년도 데이터에서 추출된 95명의 응답을 토대로 카이제곱검증, 독립적 t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영아기 보육경험 유, 무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아기 기질과 달리, 애착 안정성이 높을수록 만 5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중 정서적 반응성이 낮고, 영아기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만 5세 유아의 수면 문제가 높았다. 특히, 영아기 어린이집에서 보육경험 유, 무에 따라 영아 기질과 애착 안정성은 이후 유아기에 발현되는 문제행동과 정적 혹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아 시기의 기질, 애착 안정성, 영아기 보육경험 유, 무는 이후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그 중요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roblem behaviors in 5-year-old children depending on their childcare experience in infa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ttachment security, and problem behaviors in 5-year-old children according to childcare experience in infancy. The research utilized data from the 1st, 2nd, 3rd, and 6th waves of the Korean Children Panel Study, with a sample size of 95 respondents. Then, the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behaviors of 5-year-old children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childcare experience in infancy. Unlike temperament in infancy, the higher the attachment security was, the lower the emotional reactivity among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5-year-old children, and the higher the negative emotions in infancy were, the higher the sleep problems in 5-year-old children wer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infant temperament and attachment stability have a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that appears in infancy, depending on whether the infant has had childcare experience at a daycar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 to provide implications on the importance of temperament, attachment stability, and childcare experience during infancy as variables that predict problem behaviors in 5-year-ol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정서조절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따돌림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 : 미국의 사례를 통한 반영–쥬디 블룸의『블러버』,『이기의 집』을 중심으로
- 환경부 선정 유아용 우수환경 그림책의 특성 분석연구
- 학교준비도검사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만 5세 유아의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기질, 애착 안정성, 문제행동의 차이와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장수탕 선녀님』의 일본어판 분석을 통한 문화번역의 효용성 분석
- 은유분석(Metaphor Analysis)을 통해 본 바깥놀이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사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만 3세 유아의 자연물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유치원 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백매터(backmatter) 특징 연구 : 2015년 이후 Orbis Pictus Award 수상작을 중심으로
- 환상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의 문학적 반응연구: 백희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에 의한 그림책 읽기 - Frédéric Clément의『새벽의 새 사냥꾼』을 중심으로
- Burningham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Bakhtin의 카니발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