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따돌림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 : 미국의 사례를 통한 반영–쥬디 블룸의『블러버』,『이기의 집』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Bullying : With a focus on Judy Blume's Blubber and Iggie's Hous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현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35~4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따돌림의 문제는 남이 아닌 내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따돌림의 문제는 다문화사회의 기본국가라 볼 수 있는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더불어 다문화사회 속에서 따돌림의 문제에 대한 인지가 아이들의 삶에 중요한 표본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미국의 따돌림의 사례를 문학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 한국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미국의 쥬디 불룸 작가의 두 권의 책을 선정하였다. 이 책의 분석을 통해, 연구자는 과거 미국의 사례가 현재 한국의 상황에까지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의 1970년대는 경제발전이 크게 일어난 변화의 시기로, 발전과 함께 사회의 이면에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경제발전을 이룬 후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2020년 후 우리는 더 큰 경제 변화 속에서 아이들에 대한 문제들이 오히려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가 제안한 책 속의 다양한 문제들은 사회라는 큰 변혁안에서 가장 중요한 대상이 되는 아동에 대한 간과로 시작되었다. 작가의 여러 책 중에서 『블러버』와 『이기의 집』은 학교폭력과 인종차별이라는 ‘따돌림’의 문제를 전면에 보여주었다. 작가는 현실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당시의 시대상과 아동에 대한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논문은 첫째, 현대 한국의 다문화사회 속에서 학교와 인종에 대한 ‘따돌림’이란 주제가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 다루고 있다. 둘째, 이 문제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미국 격변의 시대의 문제들이 담긴 작가의 책을 통해서 분석했다. 이것은 현대 한국의 변화 속에 따돌림을 경험한, 혹은 진행형인 아이들의 문제에 대한 또 다른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issue of bullying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round the world,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anyone can fall victim to bullying,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problem of bullying is connected to Korea, focusing o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ich can be considered a basis for a multicultural society. To this en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at recognizing the bullying issue in a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important in children’s lives. This paper especially offers a chance to think about directions used in American cases of bullying to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y of South Korea based on the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elected two books by the American author Judy Bloom.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books,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past American cases can be connecte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e US underwent huge changes following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and its development was accompanied by issues in the dark side of society. Today, it can be said that South Korea already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we recognize it has been witnessing more frequent issues involving children since 2020 amid even bigger economic changes. Blume has raised a variety of issues in her books, such as people neglecting children who are the most important resource within the grand revolution of society. Of her many books, Blubber and Iggie’s House presents the issue of “bullying” involving school violence and racial discrimination, bring it to the forefront. She argues that people should accurately recognize the aspects of the times and children as well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correctly. First, this study deals with how important the topic of “bullying” against different races in school is as a topic in the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of South Korea. Second,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Blume"s books that address the issues of America"s turbulent times. This study proposes some measures to address children"s issues of bullying.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사회적 차별에 대한 아동의 시선
Ⅲ.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정서조절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따돌림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 : 미국의 사례를 통한 반영–쥬디 블룸의『블러버』,『이기의 집』을 중심으로
- 환경부 선정 유아용 우수환경 그림책의 특성 분석연구
- 학교준비도검사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만 5세 유아의 영아기 보육경험에 따른 기질, 애착 안정성, 문제행동의 차이와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장수탕 선녀님』의 일본어판 분석을 통한 문화번역의 효용성 분석
- 은유분석(Metaphor Analysis)을 통해 본 바깥놀이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사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만 3세 유아의 자연물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유치원 5세 학급의 미디어아트 미술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유치원 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백매터(backmatter) 특징 연구 : 2015년 이후 Orbis Pictus Award 수상작을 중심으로
- 환상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의 문학적 반응연구: 백희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에 의한 그림책 읽기 - Frédéric Clément의『새벽의 새 사냥꾼』을 중심으로
- Burningham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Bakhtin의 카니발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