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다양성 개념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이용수 253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Inclusion Education Applying the Concept of Neurodiversity: Strengths-Based Approach for Neurodiversity Classroom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1호, 217~24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경다양성은 뇌신경의 차이로 발생하는 다름을 결핍이 아닌 다양성으로 인식하는 개념이다. 신경다양성 교육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변 세계를 경험하고 상호작용하는 신경다양성 학생들을 위해 강점을 기반으로 접근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경다양성 학생 여섯 명이 포함된 초등학교 5학년 일반학급에서 암스트롱(Amstrong)이 제시한 강점 기반 접근법인 ‘긍정적인 환경 구성’ 요소를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특수교육 연구자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를 통해 협력적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통합교육을 위한 긍정적 환경 구성 요소는 강점 인식, 강점 기반 학습전략, 인적자원 향상, 보조공학 및 보편적 학습설계, 환경 수정, 긍정적인 역할 모델,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이다. 긍정적인 환경 구성 요소를 통합교육 상황에 적용한 결과, 신경다양성 교육은 차이를 중시하는 신경다양성 개념, 관계를 지원하는 신경다양성 교실, 모두의 배움이 있는 신경다양성 교육의 의미로 나타났다. 신경다양성 교실은 신경다양성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이 함께 협력하며 살아가는 공간이다. 통합교육 상황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학급에서 특정한 역할과 지위를 가지고 생활할 수 있도록 강점을 토대로 한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Neurodiversity is a concept that recognizes differences in cranial nerves as diversity rather than deficiency. Neurodiversity education emphasizes a strengths-based approach for neurod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 and interact with the world around them in different ways. In this study, the ‘positive niche construction’element, a strength-based approach proposed by Amstrong, was applied to a 5th grade general class including six neurodiversity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his,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composed of general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researchers. Positive niche construction components for inclusive education are strength awareness, strength-based learning strategies, human resources, assistive technology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environmental modifications, positive role models, and positive career aspirations. As a result of applying positive niche construction components to inclusive education, neurodiversity education showed the meaning of a neurodiversity concept that values differences, neurodiversity classroom that supports relationships, and neurodiversity education that makes all students learn. The Neurodiversity Classroom is a space where all students, including neurodiversity students, collaborate and live. In inclus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ositive environment based on strengths so that all classes can live with specific roles and posi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신경다양성 교실: ‘모두 다른 우리, 함께 하기’
Ⅳ.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행동지원, 학급긍정훈육법, 회복적생활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 국내 통합교육 연구 문헌분석
-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사회과 교육 실태 및 인식
- 신경다양성 개념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동향
-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실행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