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실행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이용수 239
- 영문명
- A Study o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Experiences with Co-teaching in Jeongdaun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정다운 학교의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교수 경험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U 소재의 초등학교 정다운 학교에서 최소 한 학기 이상 협력교수를 실시해온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 각각 5명씩 총 10명이다. 2021년 2월 9일 연구 참여자들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대한 사전 안내를 시작으로 2021년 2월 9일부터 3월 11일까지 G1 포커스 그룹, G2 포커스 그룹. G3 포커스 그룹 순으로 차례대로 인터뷰를 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의미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정다운 학교에서 경험한 협력교수는 교사만이 아니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관점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협력교수 경험은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교사 간 사전 협의의 어려움과 제도적인 문제로 인해 힘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가 지속해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와 협력교수 실행에 학교 차원의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위해 조성되어야 하는 환경은 무엇이며, 효과적인 협력교수에 대한 방안과 그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focus group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amine the co-teach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Jeongdaun School.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10 teachers, with 5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ho performed co-teaching for at least a semester at Jeongdaun School, an elementary school in U. On February 9, 2021,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eived prior notice about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from February 9, 2021, to March 11, 2021, by the order of the groups starting with G1 focus group, G2 focus group, and G3 focus group.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a total of 3 upper categories and 7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that co-teaching betwee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has positive effects for the teachers, non-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While there are positive sides to co-teaching experiences for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Jeongdaun School, the facts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 parts due to the difficulty of prior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and institutional problems many difficulties were revealed. Lastly,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Jeongdaun School suggested that it should be built a positive attitude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continuously activate opinions about the activation measures of co-teaching.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plored the environment to establish co-teaching in Jeongdaun School and identified the measures to activate effective co-teach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행동지원, 학급긍정훈육법, 회복적생활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 국내 통합교육 연구 문헌분석
-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사회과 교육 실태 및 인식
- 신경다양성 개념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동향
-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실행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