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용수  145

영문명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General Teachers at ‘Leading School A’ with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11~1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인문계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교육 경험과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겪는 현실과 문제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인문계열 고등학교의 1년 이상 근무 중인 9명의 일반교사이며, 반구조화된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교학점제와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고교학점제 운영의 시행착오’,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요구’, ‘다가오는 고교학점제 시행’이라는 4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 2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학업 설계 지원을 통한 진로·직업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고, 둘째, 고교학점제 취지를 고려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여야 하며,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관리 및 이수 기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 일반교원의 인식 개선을 통한 포용적인 학교 문화 조성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general teache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school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head of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o explore the impac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general teachers who worked for more than a year at a humanities high school where special classes were install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are four high-level categories: ‘Awarenes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pecial education’,‘trial and error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the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the upcoming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and 10 subcategories and 2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following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with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n opportunity, it is necessary to substantiat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y supporting the career and academic desig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a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research on evaluation management and completion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create an inclusive school culture by improving the awareness of general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통합교육연구, 17 (1), 111-136

MLA

.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통합교육연구, 17.1(2022): 11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